CS지식

MVC패턴

충 민 2022. 10. 12. 20:41

MVC패턴 구조

MVC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 애플리케이션을 세 가지 역할로 구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사용자가 Controller를 조작하면 Controller는 Model을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View를 통해 시각적 표현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M (model, domain)

M은 Model을 가리킨다.
Model이란 프로그램이 작업하는 세계관의 요소들을 개념적으로 정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 무인 포스기를 개발한다고 가정해보자. 무인포스기가 정상적으로 목표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메뉴가 있어야하고, 메뉴를 담을 수 있는 장바구니, 해당 메뉴의 수량, 결제수단, 할인정책 등등이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프로그램이 목표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 개체, 규칙, 작업등의 요소들을 구분되는 역할로써 정의해놓은게 Model이 된다. Model은 DTO와 DAO로 분류할 수 있다.
두 개념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른 세션에서 정리할 예정이므로 간단히 언급만하고 넘어가겠다.

결과적으로 Model을 잘 설계하는 것은, 해당 도메인 세계를 얼마만큼 이해하고 있는지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꼭 물리적인 요소뿐만아니라 추상적인 요소 또한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데 특정 책임과 역할로서 구분될 수 있다면 최대한 구체적이고 작은 entitiy를 유지하면서 Model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V (view) --jsp파일

V는 View를 가리키고 사용자가 보는 화면에 입출력 과정 및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입출력의 순서나 데이터 양식은 컨트롤러에 종속되어 결정되고, 도메인 모델의 상태를 변환하거나, 받아서 렌더링하는 역할을 한다.

view를 구현할 때 주의할 점은 도메인 로직의 어떤 것도 알고 있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절대적으로 객체를 전달받아 상태를 바로 출력하는 역할만을 담당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view에서는 도메인 객체의 상태를 따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클래스 변수 혹은 인스턴스 변수가 있을 필요가 없다.

C (controller) -- java파일로 받아줌 

C는 Controller를 가리킨다. controller는 model과 view를 연결 시켜주는 다리 역할을 함과 동시에 도메인 객체들의 조합을 통해 프로그램의 작동 순서나 방식을 제어한다. controller는 view와 model이 각각 어떤 역할과 책임이 있는 지 알고 있어야 한다.

웹 프로그래밍에서는 Controller에서 service layer를 분리하여 domain 로직이 수행되는 곳과 view의 요청을 매핑하는 곳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MVC패턴 방식 

MVC 패턴에는 모델 1 방식과 모델 2 방식이 있는데

  • 모델 1 방식: JSP에서 출력과 로직을 전부 처리
  • 모델 2 방식: JSP에서 출력만 처리

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Model 1

모델 1 방식은 Controller 영역에 View 영역을 같이 구현하는 방식이며, 사용자의 요청을 JSP가 전부 처리합니다. 요청을 받은 JSP는 JavaBean Service Class를 사용하여 웹브라우저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

 

Model 2

모델 2 방식은 웹브라우저 사용자의 요청을 서블릿이 받고 서블릿은 해당 요청으로 View로 보여줄 것인지 Model로 보낼 것인지를 판단하여 전송합니다. 또한 모델 2 방식의 경우 HTML 소스와 JAVA소스를 분리해놓았기 때문에 모델 1 방식에 비해 확장시키기도 쉽고 유지보수 또한 쉽습니다.

 

Model 1 vs Model 2

  Model 1  Model 2
장점 빠르고 쉽게 개발 가능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분업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확장이 쉬움
단점 JSP파일이 너무 비대해지며 Controller와 View가 혼재하므로 향후 유지보수에 어려움 설계가 어려우며 개발 난이도가 높음

>> Model 1 방식으로 웹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례는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의 역할 분담이 모호해져 협업이 쉽지 않으며 실제 서비스들 중에서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출처]https://cocoon1787.tistory.com/733

https://velog.io/@ljinsk3/MVC-%ED%8C%A8%ED%84%B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