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글에서 깃허브에서 직접 생성해보았다.
짝짝짝!!

이제 우리 개발자들이 진짜진짜 많이 사용하는 VSCode에서 생성해보겠다.
우선 vscode를 열고
이번에는 file.txt와 file2.txt를 수정했다는 것을 보여주겠다.
새로운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그 후 version3라고 적을겁니다
똑같이 file2.txt도 생성해줍니다
다시 깃허브 사이트로 가서
그 후
이렇게 두 개 파일을 올려줍니당
그리고 커밋!
하게되면~~
두 개의 파일이 올라갑니당 그리고 커밋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커밋이 된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vscode로 가서 file3.txt를 만들고 file3는 version4를 입력한다
그 후 다시 업로드 파일을 누른 후
version4로 커밋한다!
바뀐 내용들만 확인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프로젝트의 변화와 수정이 굉장히 편리해진다.
이런 것이 깃을 쓰는 이유인 것 같당당
저장소 생성하기 끝!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저장소 생성하기(github에서 직접 생성하기) (0) | 2022.12.29 |
---|---|
1.Git과 Github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