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er주입

    [Part 1] 의존성 주입 실습(추가설명) #5

    저번 글에서 궁금한 점이나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들을 다룰 것이다. Spring은 객체지향을 하는 프레임워크다. 웹을 하는 프레임워크는 아니다. 웹으로 확장이 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servlet-context.xml은 웹과 관련된 설정을 하고 root-context.xml은 객체지향을 관리하는 xml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다. xml을 둘로 나눈 이유다. 만약 에러가 나면 어디부터 확인해야하는가? 바로 첫번째는 컴포넌트 스캔이 되어있는지 확인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무슨 이야기인지 확인해보자. SampleHotel이라는 클래스를 만들어서 확인해보겠다. package org.zero.sampl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art 1] 의존성 주입 실습 #4

    옛날에는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만들어서 new를 하고 의존성을 서로 연결을 시켜주고 이런 일을 했는데 스프링 프레임 워크는 그럴 필요 없고 내가 선언을 하면 스프링이 객체를 넣어준다 라고 생각하고서 실습으로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저번 글에서 롬복을 세팅하였고 그 롬복을 이용하여 시작할 것이다. 우선 패키지와 클래스를 만든다. 그 다음 어노테이션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임포트가 된다. package org.zero.sampl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Chef { } 그리고 context 들어간다. 그 후 이렇게 집어넣는다 자 그러면 Chef라는 클래스에서 나온 객체는 관리가 된다. 그리고 롬복 설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