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Part 2] Controller 게시물 목록/등록/수정/삭제 #5

    📌 웹 계층의 구현 웹 계층에서 가장 먼저 설계하는 것은 URI의 설계 URL이동 : Redirect 방식 📌 진행 작업의 순서 목록 페이지 - 모든 진입 경로인 동시에 입력을 가는 링크 등록 입력 / 처리 - 게시물 등록 및 처리, 처리 후 이동 조회 - 목록 페이지에서 특정 게시물로 이동 수정 / 삭제 - 조회 페이지에서 수정 / 삭제 선택해 처리 📌 BoardController 목록의 처리 게시물(BoardVO)의 목록을 Model에 담아서 전달 📝게시물 목록처리 자 그러면 컨트롤러를 만들어보자 위의 사진처럼 BoardController.java라는 이름의 컨트롤러를 만들고 로그에 list.........를 찍어서 test로 확인해보려고한다. test클래스를 만들어주자 코드 더보기 package o..

    [Part 1] Spring Controller #10

    📝Controller의 파라미터 @Controller -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스프링의 빈으로 등록하고 컨트롤러로 사용 @RequestMapping - 특정한 URI에 대한 처리를 해당 컨트롤러나 메서드에서 처리 - 스프링 4.3 이전에는 @RequestMapping(method = 'get' ) 방식으로 사용 - 스프링 4.3이후에는 @GetMapping, @PostMapping등으로 간단히 표현 📌Model이라는 데이터 전달자 Model 객체는 JSP에 컨트롤러에서 생선된 데이터를 담아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존재 모델 2 방식에서 사용하는 request.setAttribute()와 유사한 역할 과거에는 ModelAndView Model에 담는 데이터 => 파라미터가 아니라.. 다른 곳에서 발생한..

    [Part 1] 스프링 MVC #9

    MVC(Model-View-Controller) mvc를 많이 들어는 보았을 것인데 왜 이걸 사용하느냐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Model 2 방식에 대한 이해 왜 Controller를 따로 분리했을까? URL처리 화면과 로직 분리 유지보수가 좋다는 근거가 무엇일까? 돈 - 변경 클라이언트의 변경에 비용 서비스 제공자 입장 비용 고객사의 모델 변경 DispatcherServlet은 web.xml에 있다. 여기서 알아야할 점을 간단히 설명하면 개발자가 만드는 것을 알면 편하다. Controller와 JSP(view)만 만든다. 나머지는 MVC가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프링과 스프링 MVC 스프링 프레임워크 CORE + 여러 Sub 프로젝트들 별도로 결합새서 사용하기 때문에 설정 역시 별도로 처리가능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