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2.저장소 생성하기(VSCode에서 생성하기)

    이 전글에서 깃허브에서 직접 생성해보았다. 짝짝짝!! 이제 우리 개발자들이 진짜진짜 많이 사용하는 VSCode에서 생성해보겠다. 우선 vscode를 열고 이번에는 file.txt와 file2.txt를 수정했다는 것을 보여주겠다. 새로운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그 후 version3라고 적을겁니다 똑같이 file2.txt도 생성해줍니다 다시 깃허브 사이트로 가서 그 후 이렇게 두 개 파일을 올려줍니당 그리고 커밋! 하게되면~~ 두 개의 파일이 올라갑니당 그리고 커밋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커밋이 된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vscode로 가서 file3.txt를 만들고 file3는 version4를 입력한다 그 후 다시 업로드 파일을 누른 후 version4로 커밋한다! 바뀐 내용들만 확인 가..

    2. 저장소 생성하기(github에서 직접 생성하기)

    우선 깃허브에 로그인을 해주세요 ! 로그인을 하시게되면 다음 페이지가 뜰거에요 클릭!을 하시면 다음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public : 오픈소스 프로젝트 private : 비밀 저장소 자신의 목적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pw나 url같은 중요 정보 파일이 존재하거나 env파일이 존재하면 private 으로 가시면됩니다.) 레포지터리 생성! 저 버튼을 누르면 commit 하게 되면 우리가 작성한 파일을 어떤일을 했는지 깃에게 제출하겠다. 라는 뜻이다 이 링크를 보내주게되면 그 사람이 그 내용을 볼 수 있다.—>굉장히 파격적인 내용이다. 다시 연필모양을 누르고 들어가서 편집을 해보면 이렇게 바뀌어있다. 왼쪽 상단에 code버튼을 누른 다음 2commits라는 버튼을 누르면 변경사항들을 모두 확인 가능..

    1.Git과 Github

    깃과 깃허브.com 엄연히 다른 것이다. Dropbox와 Git을 비교하면서 보시면 이해가 더 잘될겁니다 ㅎㅎ Dropbox.com (dropbox.com server)= github.com(git server) dropbox client = 제공해주는 client git client = 우리가 직접 만들어서 쓰는 client